맨위로가기

일본의 훈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의 훈장은 일본 정부가 수여하는 명예로운 상으로,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기 다른 공헌을 기리기 위해 제정되었다. 훈장은 크게 국화장, 동화장, 욱일장, 서보장, 보관장, 문화훈장으로 나뉘며, 각 훈장은 여러 등급으로 세분화되어 있다. 국화장은 일본 최고 훈장으로, 동화장은 욱일장 또는 서보장보다 뛰어난 공로가 있는 자에게 수여된다. 욱일장과 서보장은 국가 또는 공공에 공로가 있는 자에게 수여되며, 보관장은 특별한 경우 여성에게, 문화훈장은 문화 발전에 기여한 자에게 수여된다. 훈장은 춘추 서훈, 위험 업무 종사자 서훈, 고령자 서훈, 사망 서훈, 외국인 서훈 등 다양한 절차를 통해 수여되며, 훈장과 유사한 상표 사용은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다. 훈장 수여는 1875년 시작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제도 개편을 거쳐 현재의 형태로 정착되었다. 훈장 외에도 포장, 상배, 위계 등이 있으며, 내각 및 지방 자치 단체에서도 표창을 수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훈장 - 욱일대수장
    욱일대수장은 1875년에 제정된 일본의 훈장으로, 욱일장의 최상위 훈장이며, 국가나 공공에 기여한 내각총리대신, 국회의장, 대법원장 등 고위 관직 경험자, 여성, 외국인에게 수여한다.
  • 일본의 훈장 - 훈1등 욱일대수장
    훈1등 욱일대수장은 일본의 훈장인 욱일장의 최고 등급으로, 국가나 사회에 공헌한 사람에게 수여되며, 금색 무궁화 잎과 붉은색 유리알, 금색 태양 문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욱일기 및 욱일장 자체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있다.
일본의 훈장
일본의 훈장
일본 훈장
일본 훈장
개요
유형훈장
수여 대상개인
국가일본
역사
제정1875년 4월 14일 (메이지 8년)
수여 현황
최고 훈장국화장
기타
관련 항목영전
기념장 (일본)
포장 (일본)
일본의 작위 제도
훈장
일본의 문화 훈장

2. 종류

1875년 태정관포고 제54호 ‘훈장제정에 관한 건’[112], 1877년 태정관달 제97호 ‘대훈위 국화 대수장과 부장식에 대한 건’[113], 1888년 칙령 제1호 ‘보관장과 대훈위 국화장경식에 대한 건’[114](2002년 개정 전은 1888년 1월 4일 칙령 제1호 (각종 훈장 등급 제식과 대훈위 국화장경식의 제식)), 1937년 쇼와 12년 칙령 제9호 ‘문화훈장령’[115]에 따라 현재 22가지 종류의 훈장이 있다.[111]

일본의 훈장은 크게 국화장(菊花章), 동화장(桐花章), 욱일장(旭日章), 서보장(瑞宝章), 보관장(宝冠章), 문화훈장(文化勲章)으로 나뉜다.[111]


  • '''국화장'''과 '''동화장'''은 욱일대수장 또는 서보대수장보다 뛰어난 공로가 있는 자에게 수여한다.
  • '''욱일장'''과 '''서보장'''은 국가 또는 공공에 공로가 있는 자에게 수여된다. 욱일장은 사회 각 분야에서 현저한 공적을 올린 자에게, 서보장은 국가 및 지방 자치 단체의 공무 등 공공 업무에 장기간 종사하며 공로를 쌓은 자에게 수여된다.
  • '''보관장'''은 여성에게만 수여하며, 현재는 외국인에 대한 의례적 서훈이나 황족 여성에 대한 서훈 등 특별한 경우에 한하여 운용된다.
  • '''문화훈장'''은 문화 발전에 공헌한 사람에게 수여된다.


이름 (일본어 원어 표기) 및 사진비고
大勲位菊花章
국화대수훈장
일본 최고 훈장입니다.
桐花章
훈1등 욱일대수장
욱일대수훈장 또는 보관대수훈장의 대수장은 공로가 있는 사람에게 수여됩니다.
旭日章
욱일장
국가 또는 공공에 공로가 있는 사람에게 수여됩니다.
瑞宝章
서보장
국가 또는 공공에 수년간 공로가 있는 사람에게 수여됩니다.
문화훈장문화 발전에 공헌한 사람에게 수여됩니다.
宝冠章
보관장
여성만 수여 대상입니다. 일본 황실 여성 구성원 또는 외국인에게 수여되는 의례적인 훈장과 같은 특별한 경우에 수여됩니다.


2. 1. 국화장 (菊花章)

1876년에 제정된 일본 최고 훈장으로, 1888년에 2등급(금치장, 대수장)으로 확대되었다.[5] 종류는 다음과 같다.

이름 (일본어 원어 표기)비고
大勲位菊花章頸飾
국화대수훈장 경식
100px
일본 최고 훈장이다.
大勲位菊花大綬章
국화대수훈장 대수장
100px


  • 금치장 - 수여될 수 있는 최고 영예. 현 천황만이 착용하며, 통상적으로 외국 군주에게 예우 차원에서 수여된다. 1947년 이전에는 황족의 고위 구성원, 원수 계급의 특정 고위 군 장교에게도 수여되었다. 사후에는 매우 뛰어난 일본 총리에게 수여될 수 있으며, 마지막 수여는 2022년 아베 신조에게 이루어졌다.[6]
  • 대수장 - 일반적으로 일본 황족, 재위 중이 아닌 외국 왕족, 특정 외국 비왕족 국가 원수, 그리고 선별된 일본 총리에게 수여된다. 1947년까지는 원수 계급의 저명한 군 장교에게도 자주 수여되었다. 사후에도 자주 수여된다.

2. 2. 동화장 (桐花章)

욱일대수장 또는 서보대수장보다 뛰어난 공로가 있는 사람에게 수여되는 훈장이다. 1888년 욱일대수장의 특별 대수장으로 제정되었으며, 2003년에 별도의 훈장으로 독립했다. 일반적으로 정기적으로 수여되는 가장 높은 훈장이며, 단일 등급(대수장)으로 수여된다. 주로 일본 총리, 원로, 외국 정부 수반, 각료, 법관 등에게 수여된다. 1947년까지는 장군 이상의 계급 또는 그에 준하는 뛰어난 군 장교에게도 수여되었다.[111]

2. 3. 욱일장 (旭日章)

욱일장은 1875년 일본 최초의 훈장으로 제정되었다.[8] 국가 또는 공공에 공로가 있는 사람에게 수여되며, 사회 각 분야에서 현저한 공적을 올린 사람에게 주어진다.[24]

2003년 이전에는 9등급으로 수여되었으나, 이후 개정을 통해 6등급으로 변경되었다. 욱일대수장은 일반적으로 외국 정부 수반, 저명한 국제기구 의장, 주요 정치인, 기업 리더 및 외교관 등에게 수여된다. 2등급은 저명한 학자, 정치인 및 군 장교 등에게, 3등급에서 6등급은 다양한 분야에서 공헌한 사람들에게 수여된다.[8]

욱일장의 등급은 다음과 같다.

등급명칭이미지
1욱일대수장국가 또는 공공에 공로가 있는 사람에게 수여[11]
2욱일중광장
3욱일중수장
4욱일소수장
5욱일쌍광장
6욱일단광장



2003년에 욱일장의 7등급과 8등급은 폐지되었고, 특별 1등급은 동화대수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8]

2. 4. 서보장 (瑞宝章)

瑞宝章|ずいほうしょう일본어은 국가 또는 공공에 공로가 있는 자에게 수여되며, 욱일장과 함께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공적 내용에 착안하여 현저한 공적을 올린 자"에게 수여되는 욱일장과는 달리, "국가 및 지방 자치 단체의 공무 또는 ... 공공적인 업무에 다년간 종사하고 공로를 쌓아 성적을 올린 자"에게 수여된다.[111] 1888년 메이지 천황 칙령으로 제정되었으며, 2003년 훈장 제도의 개정 이후 6등급으로 나뉘어 장기간 기여한 공무원, 군인, 국립 대학교의 학자, 교사 등에게 수여된다. 2003년에 폐지된 7등급과 8등급은 제외하고 현재 6등급으로 운영된다.

등급명칭이미지설명
1등급瑞宝大綬章|서보대수장일본어
100px
국가 또는 공공에 수년간 공로가 있는 사람에게 수여된다.
2등급瑞宝重光章|서보중광장일본어
100px
rowspan="5" |
3등급瑞宝中綬章|서보중수장일본어
100px
4등급瑞宝小綬章|서보소수장일본어
100px
5등급瑞宝双光章|서보쌍광장일본어
100px
6등급瑞宝単光章|서보단광장일본어
100px


2. 5. 보관장 (宝冠章)

보관장(宝冠章)은 '특별한 경우 여성으로서 공훈을 쌓은 자'에게 수여한다고 규정되어 있다.[111] 현재는 외국인에 대한 의례적인 서훈이나 황족 여성에 대한 서훈 등 특별한 경우에 한하여 운용되고 있다.[25]

1888년에 5등급으로 제정된 이 훈장은 1896년에 7등급으로 확대되었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7등급은 폐지되었다. 처음에는 더 높은 훈장을 받을 자격이 없는 외국인에게 수여되었지만, 이후 여성에게만 수여되었다. 2003년부터 일본 여성에게 욱일장이 수여되면서, 보관장은 외국 여성에게만 수여되고 있다.

보관장은 6등급으로 나뉜다.[25]

등급명칭이미지
1등급보관대수장
100px
2등급보관모란장
100px
3등급보관백접장
100px
4등급보관등화장
100px
5등급보관행엽장
100px
6등급보관파광장
100px


2. 6. 문화훈장 (文化勲章)

1937년에 제정된 문화훈장은 일본 문화에 뛰어난 공헌을 한 사람들에게 수여되는 단일 등급의 훈장이다.[111] 일본인 노벨상 수상자는 문화훈장을 수여받는다. 문화훈장은 1년에 1회 발령되며, 11월 3일 문화의 날에 궁중에서 천황이 직접 수여한다.[26]

3. 서훈 절차

서훈은 ‘훈장 수여 기준’에 따라 이루어진다.[116] 서훈 후보자는 만 70세 이상 등의 형식적 요건 외에 ‘국가 또는 공공에 대한 공로’ 내용과 상벌 기록 등의 조사를 받는다. 이 조사는 철저하게 진행되며, 도로교통법 위반 등 형벌 유무는 물론 파산 선고, 파산 절차 개시 결정 유무 등도 조사 대상이다.

서훈은 춘추 서훈, 위험 업무 종사자 서훈, 고령자 서훈, 사망 서훈, 외국인 서훈으로 구분된다.[116] 각 서훈에 대해서는 관보의 ‘서위, 서훈’ 항에 수상자 이름과 서훈된 훈장이 게재된다. 또한 춘추 서훈, 위험 업무 종사자 서훈, 문화훈장 서훈은 많은 신문에서 수상자 이름 등을 보도한다.

3. 1. 춘추서훈

1년에 2회, 봄(4월 29일)과 가을(11월 3일)에 발령되는 정기 서훈이다.[116] 춘추 서훈에서 봄은 4월 29일(쇼와의 날)에, 가을은 11월 3일(문화의 날)에 발령되며, 매회 대략 4,000명이 수상한다. 춘추 서훈 후보자 추천 요강은 헤이세이 15년 5월 16일 내각총리대신 결정, 헤이세이 15년 5월 20일 각의 보고되었다.

3. 2. 위험업무 종사자 서훈

경찰관, 자위관, 소방 공무원, 교도관, 해상 보안관 등 위험한 업무에 종사한 55세 이상 전 공무원을 대상으로 춘추 서훈과 같은 날에 발령되고 매번 대체로 3,600명이 수여를 받는다.[26][29]

3. 3. 고령자 서훈

춘추 서훈에서 수상하지 못한 공로자를 대상으로 매월 1일에 발령되며, 만 88세가 된 것을 계기로 서훈된다.[116]

3. 4. 사망 서훈

서훈 대상이 되어야 할 사람이 사망했을 때, 수시로 서훈된다.[116]

3. 5. 외국인 서훈

외국인 서훈은 국빈 등에 대한 의례적인 서훈과 공로가 있는 외국인에 대한 서훈이 있으며, 모두 외무대신의 추천에 따라 행해진다.[26]

3. 6. 선발

수상 후보자는 중의원 의장, 참의원 의장, 국회도서관장, 최고재판소 장관, 총리, 회계검사원장, 인사원 총재, 궁내청 장관, 내각부 외국장 등이 추천한다.[116] 총리가 후보자를 심사하여 내각의 결정을 거친 후, 천황에게 상주하여 재가를 얻어 발령된다.[116] 서훈의 대부분은 각 성 대신의 추천(부처 추천)에 의한 것이다.[116]

2003년 가을 서훈부터 일반 추천 제도가 도입되었으나, 2008년 가을 서훈에서는 일반 추천으로 수여된 사람은 4028명 중 5명으로 극소수에 그쳤다.[116] 2003년부터 일본 정부는 훈장국을 통해 일반 국민이 훈장 수여 후보자를 추천할 수 있는 추천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4] 공개 추천인은 훈장국에 신청서를 제출하며, 신청서 처리를 위해서는 추천인 1명과 승인자 2명이 필요하다. 신청서는 연중 접수된다.[4]

신청서가 심사 승인을 받으면 훈장국과 관련 부처 및 기관에서 조사 및 검토를 실시한다.[4] 각 부처 및 정부 기관은 훈장국에 신청서를 제출하고, 후보자에 대한 논의 요청이 각료 회의에 제출된다.[4] 이후 잠재적 수여자 정보가 천황에게 보고된 후, 언론에 공식 발표된다.[4]

3. 7. 박탈

훈장을 수여받은 후 '사형, 징역 또는 무기 또는 3년 이상의 금고'에 처해지는 등 메이지 41년 칙령 제291호 훈장박탈령에 규정된 사유가 발생하면 훈장이 박탈된다.[81] 이 법령은 법령에 의해 구금되어 있는 동안은 훈장을 패용할 수 없는 것 등의 절차도 정한다.

4. 역사

일본의 훈장은 개인의 공적을 국가가 인정하는 시스템으로, 메이지 시대에 제정되었다.[1] 훈장 수여는 일본 천황의 헌법상 권한 중 하나이며, 일본 내각의 조언을 받아 수행된다.[3] 내각부 훈장국은 훈장 수여에 관한 행정 업무와 훈장 제도 연구 및 계획을 담당한다.[2]

사다코 황후의 초상. 왼쪽 가슴에 훈1등 보관장의 부장과 다이쇼 대례 기념장을 달고 있고,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옆구리로 훈1등 보관장의 대수를 걸치고 있다.


1945년 8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항복하고 연합군 최고 사령부(GHQ)의 점령 통치를 받으면서 일본의 관료 제도가 크게 바뀌었다. 1946년 5월 3일 각의 결정에 따라 황족 및 외국인에 대한 서훈과 문화훈장을 제외한 생존자 서훈이 일시 중지되었다.[46] 1947년에 시행된 일본국 헌법은 "영예, 훈장 기타 영전의 수여는 어떠한 특권도 따르지 않는다."(14조 3항)라고 규정하여, 영전에 따르는 특권도 폐지되었다.

1953년 9월 18일 각의 결정에 의해 긴급히 서훈할 필요가 있는 생존자에 대한 서훈이 재개되었고,[48] 1963년 7월 12일 이케다 내각의 각의 결정으로 생존자 서훈이 다시 시작되었다.[52] 1964년 4월 21일 새로운 "서훈 기준"이 각의 결정되었으며,[53][54] 같은 해 4월 29일 요시다 시게루에게 대훈위 국화대수장이 수여되는 등 생존자 서훈이 발령되었다. 이후 매년 봄과 가을에 두 번씩 서훈이 발령되고 있다.

2003년 영전 제도 개혁으로 훈등(勲等)이 폐지되고 훈장 등급이 간소화되었다.[8] 이전의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勲一等旭日桐花大綬章)'은 '동화대수장(桐花大綬章)'으로 변경되었다. 욱일장은 2003년 이전에는 9등급으로 수여되었으나, 개혁 이후 등급이 간소화되었고, 여성에게도 욱일장이 수여되기 시작하면서 보관장은 외국 여성에게만 수여되는 특별한 훈장이 되었다.[8]

2003년(헤이세이 15년) 11월부터 2015년(헤이세이 27년) 11월까지의 위험 업무 종사자 서훈 수훈자 수는 다음과 같다.[83]

연도경찰관자위관소방 공무원교도관해상보안관합계
제1회2003년 (헤이세이 15년) 11월1923 (3)887 (3)634 (0)1 (0)90 (0)3535 (6)
제2회2004년 (헤이세이 16년) 4월1743 (3)939 (5)650 (0)0 (0)100 (0)3432 (8)
제3회2004년 (헤이세이 16년) 11월1759 (4)942 (4)627 (0)169 (3)84 (0)3581 (11)
제4회2005년 (헤이세이 17년) 4월1804 (2)928 (4)604 (0)180 (1)80 (0)3596 (7)
제5회2005년 (헤이세이 17년) 11월1802 (3)929 (3)604 (0)179 (1)79 (0)3593 (7)
제6회2006년 (헤이세이 18년) 4월1806 (3)917 (1)608 (0)180 (0)80 (0)3591 (4)
제7회2006년 (헤이세이 18년) 11월2022 (5)680 (1)623 (0)179 (3)90 (0)3594 (9)
제8회2007년 (헤이세이 19년) 4월1993 (2)695 (4)634 (0)179 (1)90 (0)3591 (7)
제9회2007년 (헤이세이 19년) 11월1817 (2)933 (4)602 (0)179 (0)85 (0)3616 (6)
제10회2008년 (헤이세이 20년) 4월1816 (0)935 (4)602 (0)179 (1)85 (0)3617 (5)
제11회2008년 (헤이세이 20년) 11월1816 (2)932 (3)610 (0)169 (0)85 (0)3612 (5)
제12회2009년 (헤이세이 21년) 4월1827 (4)932 (7)614 (0)160 (1)84 (0)3617 (12)
제13회2009년 (헤이세이 21년) 11월1832 (1)936 (6)615 (0)148 (0)85 (0)3616 (7)
제14회2010년 (헤이세이 22년) 4월1835 (4)936 (4)619 (0)145 (2)88 (0)3623 (10)
제15회2010년 (헤이세이 22년) 11월1835 (0)937 (5)619 (0)144 (0)87 (0)3622 (5)
제16회2011년 (헤이세이 23년) 4월1828 (3)935 (3)610 (1)147 (0)89 (0)3609 (7)
제17회2011년 (헤이세이 23년) 11월1839 (1)934 (7)622 (0)136 (1)93 (0)3624 (9)
제18회2012년 (헤이세이 24년) 4월1842 (1)941 (8)620 (0)137 (2)94 (0)3634 (11)
제19회2012년 (헤이세이 24년) 11월1835 (1)941 (9)621 (0)137 (3)99 (0)3633 (13)
제20회2013년 (헤이세이 25년) 4월1853 (2)936 (5)625 (0)137 (1)94 (0)3645 (8)
제21회2013년 (헤이세이 25년) 11월1838 (0)930 (6)621 (0)140 (1)86 (0)3615 (7)
제22회2014년 (헤이세이 26년) 4월1839 (2)935 (6)632 (0)139 (0)84 (0)3629 (8)
제23회2014년 (헤이세이 26년) 11월1845 (0)933 (4)623 (2)138 (2)63 (0)3602 (8)
제24회2015년 (헤이세이 27년) 4월1836 (3)934 (8)620 (0)137 (1)84 (0)3611 (12)
제25회2015년 (헤이세이 27년) 11월1840 (3)933 (3)638 (0)137 (2)60 (0)3608 (8)
합계46,025 (54)22,810 (117)15,497 (3)3,576 (26)2,138 (0)90,046 (200)


4. 1. 막부 말기

1867년 프랑스에서 열린 파리 만국 박람회에 에도 막부, 사쓰마 번, 사가 번이 참가했다. 이때 막부 측이 '일본 대군 정부' 대표를 칭하자, 사쓰마 번은 독자적으로 '일본 사쓰마 대수 정부' 대표를 칭하며 막부로부터 독립한 정권처럼 행동했다. 이를 위해 프랑스의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모방한 사쓰마 류큐국 훈장을 현지에서 제작하여 나폴레옹 3세 등 프랑스 정부 고관에게 증정했다[37]. 이것이 일본 최초의 서구식 훈장이다.

4. 2. 서훈 제도의 창설 (메이지 시대)

1871년 10월 15일 (메이지 4년 9월 2일), 신정부는 상패(훈장) 제도의 심의를 입법 기관인 좌원에 자문했다. 1873년 (메이지 6년) 3월에는 호소카와 준지로, 오쿠보 쓰네 등 5명이 "메달[39] 취조 어용" 담당으로 임명되어 훈장에 관한 자료 수집과 조사 연구에 임했다. 1875년 (메이지 8년) 4월 10일, '''상패 흠정의 조'''를 발포하여 '''상패 종군패 제정의 건'''(메이지 8년 태정관 포고 제54호)[40]을 공포하여 '''훈등'''과 '''상패'''의 제도가 정해졌다. 포고에서는 훈1등부터 훈8등까지의 훈등을 서훈한 자에게 각각 1등 상패부터 8등 상패까지의 상패를 하사한다고 했다. 이때 정해진 상패의 제식은 현재의 욱일장의 기초가 되었다[41][42].

같은 해 말에는 아리스가와노미야 타루히토 친왕 이하 10명의 황족이 처음으로 서훈되었다. 황족 이외의 자에 대해 처음으로 서훈이 행해진 것은 다음 1876년 (메이지 9년)으로, 대만 출병의 공로로 사이고 주도가 훈1등에 서훈되었다. 또한 같은 해에는 청나라와의 교섭에 공이 있던 미국인 르젱드르와 프랑스인 부아소나드가 최초의 외국인 서훈으로 훈2등에 서훈되었다.

1876년(메이지 9년) 10월 12일, 정원에 상훈사무국(같은 해 12월에 상훈국으로 개칭)이 설치되어, 참의 이토 히로부미가 초대 장관에, 오쿠보 쓰네가 부장관에 임명되었다[43]. 같은 해 11월 15일의 태정관 포고에 의해, 상패는 '''훈장'''(종군패는 종군기장)으로 개칭되었다(메이지 9년 태정관 포고 제141호). 또한, 같은 해 12월 27일조서에 의해, 훈1등의 상위에 대훈위가 놓였다. 대훈위에는, 대응하는 훈장으로 국화대수장국화장이 제정되었다[44].

4. 3. 제도의 확충

1888년메이지 21년)1월 3일에는 제도 운용의 원활화를 도모하고, 여러 외국의 예를 따라 보관장서보장이 신설되었으며, 욱일장에는 욱일대수장의 상위에 욱일동화대수장이, 국화장에는 국화대수장의 상위에 국화장 경식이 추가되었다(메이지 21년 칙령 제1호).[44]

1890년 (메이지 23년)에는 무공이 뛰어난 군인, 군속에게 수여되는 금계훈장 (공1급에서 공7급)이 제정되었다.[45]

4. 4. 제도의 정지와 재개

1945년 8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항복하고 연합군 최고 사령부(GHQ)의 점령 통치를 받으면서 일본의 관료 제도가 크게 바뀌었다. 이 때문에 기존의 서훈 내칙을 적용하기 어려워졌다.[46] 1946년 5월 3일 각의 결정에 따라 황족 및 외국인에 대한 서훈과 문화훈장을 제외한 생존자 서훈이 일시 중지되었다.[46] 1947년에 시행된 일본국 헌법은 "영예, 훈장 기타 영전의 수여는 어떠한 특권도 따르지 않는다."(14조 3항)라고 규정하여, 영전에 따르는 특권도 폐지되었다.

1953년 9월 18일 각의 결정에 의해 긴급히 서훈할 필요가 있는 생존자에 대한 서훈이 재개되었다.[48] 이는 서일본 지역에 풍수해가 발생하여 구조, 방재, 복구에 힘쓴 공로자가 많아 영전 제도의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49] 1963년 7월 12일, 이케다 내각의 각의 결정으로 생존자 서훈이 다시 시작되었다.[52] 1964년 4월 21일에는 새로운 "서훈 기준"이 각의 결정되었다.[53][54] 이는 일본국 헌법 하에서 국민 각계각층을 대상으로 서훈하기 위해 정해진 것이다.[49] 같은 해 4월 29일, 요시다 시게루에게 대훈위 국화대수장이 수여되는 등 생존자 서훈이 발령되었다. 이후 매년 봄과 가을에 두 번씩 서훈이 발령되고 있다.

4. 5. 제도의 현대화

2003년 영전 제도 개혁으로 훈등(勲等)이 폐지되고 훈장 등급이 간소화되었다.[8] 이전에는 훈장과 훈등으로 훈작이 구성되었으나, 개정 이후 훈등 부분이 제거되었다. 예를 들어, 이전의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勲一等旭日桐花大綬章)'은 '동화대수장(桐花大綬章)'으로 변경되었다.

욱일장은 2003년 이전에는 9등급으로 수여되었으나, 개혁 이후 등급이 간소화되었고, 여성에게도 욱일장이 수여되기 시작하면서 보관장은 외국 여성에게만 수여되는 특별한 훈장이 되었다.[8]

5. 훈장과 관련된 법적 문제

일본의 훈장 제도는 법률이 아닌 시행령(대통령령으로 간주되는 태정관포고, 칙령)과 내각부령(내각부령으로 간주되는 태정관달, 각령)에 따라 운영되고 있다. 현재 22가지 종류가 존재하는 훈장[111]1875년 태정관포고 제54호 ‘훈장제정에 관한 건’[112], 1877년 태정관달 제97호 ‘대훈위 국화 대수장과 부장식에 대한 건’[113], 1888년 칙령 제1호 ‘보관장과 대훈위 국화장경식에 대한 건’[114], 1937년 쇼화 12년 칙령 제9호 ‘문화훈장령’[115]을 마지막으로 정해져 있다.

훈장을 수여한 후 '사형, 징역 또는 무기 약 3년 이상의 금고'에 처해지는 등 훈장박탈령(메이지 41년 칙령 제291호)에 규정된 사유가 발생하면 훈장을 박탈한다. 이 법령은 법령에 의해 구금되어 있는 동안은 훈장을 착용할 수 없는 것 등의 절차도 정한다.

5. 1. 근거법 부재

일본의 훈장 제도는 법률이 아닌 시행령(대통령령으로 간주되는 태정관포고, 칙령)과 내각부령(내각부령으로 간주되는 태정관달, 각령)에 따라 운영되고 있다. 현재 22가지 종류가 존재하는 훈장[111]1875년 태정관포고 제54호 ‘훈장제정에 관한 건’[112], 1877년 태정관달 제97호 ‘대훈위 국화 대수장과 부장식에 대한 건’[113], 1888년 칙령 제1호 ‘보관장과 대훈위 국화장경식에 대한 건’[114], 1937년 쇼화 12년 칙령 제9호 ‘문화훈장령’[115]을 마지막으로 정해져 있다.

5. 2. 훈장 박탈령

훈장을 수여한 후 '사형, 징역 또는 무기 약 3년 이상의 금고'에 처해지는 등 훈장박탈령(메이지 41년 칙령 제291호)에 규정된 사유가 발생하면 훈장을 박탈한다. 이 법령은 법령에 의해 구금되어 있는 동안은 훈장을 착용할 수 없는 것 등의 절차도 정한다.

6. 훈장과 연금

메이지 정부는 1877년(메이지 10년) 7월 25일, '''훈등 연금령'''(욱일장 연금)을 제정하여, 훈등을 받은 사람에게 종신 연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1894년(메이지 27년)에는 금계 훈장 수훈자에게 연금을 지급하는 '''금계 훈장 연금령'''(메이지 27년 칙령 제173호)을 공포했다. 1915년(다이쇼 4년)에는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수훈자 중 특히 뛰어난 공적을 세운 사람에게도 1500엔의 종신 연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그러나 재정 악화 등으로 1941년(쇼와 16년)에 훈등 연금과 금계 훈장 연금이 모두 폐지되어 이후 수훈자에게는 연금이 지급되지 않았다. 1945년(쇼와 20년) 12월 말일을 기해, 그때까지 지급되었던 훈장 연금(훈등 연금 및 금계 훈장 연금)도 모두 폐지되었다.[102][103]

1951년(쇼와 26년) '''문화공로자 연금법'''(쇼와 26년 법률 제125호)이 공포·시행되어, "문화 향상 발전에 특히 공적이 현저한 자"인 문화공로자에게 연액 350만(헤이세이 22년도 현재. 규정의 최신 개정은 1982년(쇼와 57년).)의 연금이 지급되고 있다. 한편, "문화훈장 수훈 후보자 추천 요강"[107]에 따르면, 문화훈장 수훈 후보자는 문부과학대신이 "문화 발전에 훈적이 탁월한 자를 ''문화공로자 중에서'' 선고"하여 내각총리대신에게 추천한다.

훈장에 연금을 주는 것이 문제가 되었기 때문에 현재 제도는 훈장과 연금을 직접 연결시키지 않는다.[108] 따라서 훈장을 수여할 때 금품이나 연금을 지급하지 않는다. 다만, 문화훈장 수훈자는 문화공로자 중에서 선출되는 것이 관례이므로 문화공로자로서의 연금은 지급받게 된다. 정부 견해에 따르면 문화훈장과 문화공로자는 별도 제도로 운용되기 때문에 일본국 헌법 제14조 3항에 저촉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109] 그러나 문화공로자 지위 자체가 영전이며 연금 자체가 영전에 따르는 특권이라면 합헌성 문제가 남는다.[108] 헌법학상으로는 공적을 표창하는 데 상응하는 한도 내라면 법의 평등에 반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110]

7. 기타 영전

포장, 상배, 위계 등이 훈장 외에 일본의 영전에 포함된다.[1]



그 외에도 내각이나 각 성 대신, 각 지방 자치단체는 큰 공적이 있는 자에게 훈장이나 포상을 대신하거나 시기에 따라 현창하기 위해 각종 표창을 실시하고 있다. 이것들은 일본국 헌법 제7조 제7호의 "영전"에는 해당하지 않지만, 훈장이나 포상에 필적하는 영예로운 것으로 간주된다.[1]

시기에 따른 현창을 위한 표창으로는 내각총리대신 표창의 일종인 국민영예상이 있다. 국민영예상은 훈장이나 포상만큼 엄격한 수여 기준·수여 절차가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그때그때 인기 있는 사람이 수상하는 경우도 많다.[1]

경찰청장이 경찰관이나 공로 있는 시민에게 수여하는 기장이나 소방청장이 소방공무원 및 소방대원에게 수여하는 기장, 행정기관이나 지방공공단체가 수여하는 각종 영예장, 일본 적십자사가 수여하는 유공장 등 표창과 함께 메달형 기장을 수여하는 경우도 있다.[1]

자위대 방위기념장의 하나


자위관이 표창(상사, 부대 표창)과 함께 메달형 기장인 방위공로장, 부대공적공헌장이 수여된다. 또한, 표창의 의미와 각 개인의 경력을 나타내는 심볼의 의미를 함께 가지고 있는 방위기념장은 자위관이 착용할 수 있는 것으로, 착용의 이유가 된 공적의 내용이나 경력에 따라 48종이 있다.[1]

또한 훈장이 ''Order''로 영문 번역되는 데 반해, 포상 및 기장은 ''Medal''로 번역되어 구별되고 있다.[1]

참조

[1] 서적 日本の勲章-日本の表彰制度 Daiichi Hoki Publishing 1965-01
[2] 웹사이트 Decorations and Medals in Japan - Cabinet Office Home Page https://www8.cao.go.[...] 2022-08-20
[3] 간행물 Decorations and medals: Praising the glory https://www.cao.go.j[...] Cabinet Office
[4] 간행물 Decorations and medals: Praising the glory https://www.cao.go.j[...] Cabinet Office
[5] 웹사이트 Supreme Orders of the Chrysanthemum https://www8.cao.go.[...]
[6] 웹사이트 Japan honors ex-PM Abe with highest decoration, wake held in Tokyo https://english.kyod[...]
[7] 문서 Grand Cordon of the Order of the Paulownia Flowers https://www8.cao.go.[...]
[8] 문서 Orders of the Rising Sun https://www8.cao.go.[...]
[9] 간행물 Decorations and medals: Praising the glory https://www.cao.go.j[...] Cabinet Office
[10] 웹사이트 勲章の種類及び授与対象 : 日本の勲章・褒章 - 内閣府 https://www8.cao.go.[...] 2022-09-03
[11] 웹사이트 勲章及び褒章の英訳名 : 日本の勲章・褒章 - 内閣府 https://www8.cao.go.[...] 2022-09-03
[12] 서적 Medals and honours Jiji Gahosha 2007
[13] 웹사이트 勲章の種類及び授与対象 https://www8.cao.go.[...]
[14] 간행물 Decorations and medals: Praising the glory https://www.cao.go.j[...] Cabinet Office
[15] 문서 The highest Japanese decoration, the Order of the Chrysanthemum, has not been conferred upon a living Japanese national who is not a member of the Imperial Family since 1997, when former Prime Minister [[Yasuhiro Nakasone]] was decorated with the Grand Cordon of the Order.
[16] 웹사이트 春秋叙勲受章者数(勲章別、年別、春秋別)(平成15年~) https://www8.cao.go.[...] 2016-03-12
[17] 웹사이트 English translations of Orders and Honours https://web.archive.[...]
[18] 웹사이트 English translations of Orders and Honours https://web.archive.[...]
[19] 문서 岩倉・藤樫 第1章
[20] 문서 造幣局百年史 p 101
[21] 문서 1975年(昭和50年)6月5日、第75回国会衆議院決算委員会、原茂議員に対する秋山進総理府賞勲局長答弁。
[22] 서적 憲法(新版) 弘文堂 1990
[23] 문서 勲章の種類及び授与対象 https://www8.cao.go.[...] 内閣府賞勲局
[24] 문서 勲章の授与基準 https://www8.cao.go.[...] 2003-05-20
[25] 문서 我が国の勲章の種類(宝冠章) https://www8.cao.go.[...] 内閣府賞勲局
[26] 문서 勲章・褒章制度の概要 https://www8.cao.go.[...] 内閣府賞勲局
[27] 문서 勲章及び文化勲章各受章者の選考手続 https://www8.cao.go.[...] 1978-06-20
[28] 문서 春秋叙勲候補者推薦要綱 https://www8.cao.go.[...] 2003-05-20
[29] 문서 危険業務従事者叙勲受章者の選考手続について https://www8.cao.go.[...] 2003-05-20
[30] 문서 「国の栄典及び表彰等の上申要領について(通達)」 http://www.clearing.[...]
[31] 문서 「春秋叙勲候補者推薦要綱」、「春秋外国人叙勲候補者推薦要綱」、「文化勲章受章候補者推薦要綱」の各要綱
[32] 웹사이트 秋の叙勲、4000人余に 旭日大綬章に奥田碩さんら http://www.asahi.com[...] 2008-11-03
[33] 문서 「危険業務従事者叙勲受章者の選考手続について」 https://www8.cao.go.[...] 内閣府賞勲局 2003-05-20
[34] 문서 「春秋叙勲の候補者としてふさわしい者の推薦(一般推薦)について」 https://www8.cao.go.[...] 内閣府賞勲局
[35] 문서 取り消しのこと
[36] 문서 着用のこと
[37] 문서 佐藤 p 52
[38] 문서 毎日新聞社 p 81
[39] 문서 Médaille。フランス語でメダルの意、メダイルとも。
[40] 문서 題名がないため、件名で呼ばれる。賞牌従軍牌制定ノ件は翌1874年(明治9年)施行の太政官布告(明治9年太政官布告第141号)による改正後は'''勲章従軍記章制定ノ件'''と呼ばれ、さらに2003年(平成15年)5月1日施行の政令(平成14年政令第277号)による改正後は'''勲章制定ノ件'''と呼ばれる。
[41] 문서 上位から順に旭日大綬章、旭日重光章、旭日中綬章、旭日小綬章、双光旭日章、単光旭日章、青色桐葉章、白色桐葉章の8種。
[42] 문서 現在の制式は、各種勲章及び大勲位菊花章頸飾の制式及び形状を定める内閣府令(平成15年内閣府令第54号)に定められる。
[43] 문서 1878年(明治11年)3月、長官を総裁、副長官を副総裁と改称(明治11年太政官達第8号)。
[44] 문서 菊花大綬章と菊花章の制式は、翌1877年(明治10年)の太政官達(明治10年太政官達第97号)により定められた。後に菊花章は、菊花大綬章の副章とされた。
[45] 문서 金鵄勲章は日本国憲法の施行に伴い1947年(昭和22年)に廃止された
[46] 문서 「官吏任用叙級令施行に伴ふ官吏に対する叙位及び叙勲並びに貴族院及び衆議院の議長、副議長、議員又は市町村長及び市町村助役に対する叙勲の取扱に関する件」 https://ndlsearch.nd[...] 国立国会図書館 1946-05-03
[47] 문서 「栄典制度改革に関する閣議決定の一」 https://ndlsearch.nd[...] 国立国会図書館 1948-02-07
[48] 문서 「生存者に対する叙勲の取扱に関する件」 https://ndlsearch.nd[...] 国立国会図書館 1953-09-18
[49] 서적 勲章と褒章 時事画報社 2007
[50] 문서 「臨時栄典制度審議会の設置について」 https://ndlsearch.nd[...] 国立国会図書館 1955-12-13
[51] 문서 それぞれ、第2回国会の閣法第118号(1948年(昭和23年)6月提出)、第15回国会の閣法第33号(1952年(昭和27年)12月提出)、第24回国会の閣法第160号(1956年(昭和31年)4月提出)のいずれも内閣が提出した「栄典法案」である。
[52] 문서 「生存者叙勲の開始について」 https://ndlsearch.nd[...] 国立国会図書館 1963-07-12
[53] 문서 「叙勲基準」 https://www8.cao.go.[...] 栄典制度の在り方に関する懇談会「栄典制度の在り方に関する論点の整理」資料 1964-04-21
[54] 문서 このとき暫定的に設定された70歳以上という年齢要件はその後の春秋叙勲の原則となり、現行の春秋叙勲候補者推薦要綱(2003年(平成15年)5月16日内閣総理大臣決定、同5月20日20日閣議報告)に引き継がれている。なお、危険業務従事者叙勲については原則として55歳以上とされる。
[55] 서적 憲法(新版) 弘文堂 1990
[56] 문서 宮沢俊義・芦部信喜補訂『全訂 日本国憲法』572頁以下、清宮四郎『憲法 I 〔第3版〕』429頁、佐藤幸治『憲法〔第3版〕』146頁以下、野中俊彦=中村睦男=高橋和之=高見勝利『憲法II〔第4版〕』202頁(高橋和之執筆部分)
[57] 문서 なお、外国勲章佩用願規則(明治18年太政官布告第35号)については、法務省の現行日本法規・議院法制局の現行法規総覧・国会図書館の日本法令索引のいずれも同旨の理由により失効したものとして扱っている。
[58] 문서 これは、12月8日の自民党内閣部会において、亀井静香政務調査会長が「21世紀を迎えるに当り、栄典制度を新しい時代にふさわしいものとするため抜本的な検討を加えるべき」と指示したことを受けたものである。
[59] 문서 勲章制定の件には「勲等」の2文字は残っており、概念としてはなお存続している。詳細は勲等参照。
[60] 문서 鈕のデザインは等級によって変えられ、旭日小綬章・瑞宝小綬章以上が五七の桐花、旭日双光章・旭日単光章・瑞宝双光章・瑞宝単光章が五三の桐花である。
[61] 문서 所管の法令等 https://www8.cao.go.[...] 内閣府
[62] 문서 栄典に関する資料集・関係法令 https://www8.cao.go.[...] 内閣府
[63] 문서 「象徴天皇制に関する基礎的資料」(衆憲資第13号) https://www.shugiin.[...] 衆議院憲法調査会事務局 2003-02
[64] 뉴스 明治19年10月25日付官報 https://ndldc.ndl.go[...] 2013-03-29
[65] 뉴스 東京帝宮」ではなく「宮城」に改める 1936-05-31
[66] 뉴스 東日本大震災:叙勲・褒章、初の延期 内閣府「5月下旬までに結論」 http://mainichi.jp/s[...] 2011-04-11
[67] 뉴스 平成23年春の叙勲 大綬章等勲章親授式・重光章等勲章伝達式 https://www8.cao.go.[...] 2011-07-21
[68] 뉴스 平成23年春の叙勲等 https://www8.cao.go.[...] 2011-07-21
[69] 뉴스 時代の変化に対応した栄典の授与に関する有識者懇談会情報一覧 https://www8.cao.go.[...] 2019-08-15
[70] 뉴스 時代の変化に対応した栄典の授与に関する有識者懇談会の開催について(平成28年1月7日内閣官房長官決定) https://www8.cao.go.[...] 2019-08-15
[71] 뉴스 栄典授与の中期重点方針 https://www8.cao.go.[...] 2016-09-16
[72] 뉴스 令和元年春の叙勲等 https://www8.cao.go.[...] 2019-05-21
[73] 뉴스 内閣官房長官会見・平成31年2月26日(火)午前 https://www.kantei.g[...] 2019-02-26
[74] 웹사이트 勲章及び褒章の英訳名 https://www8.cao.go.[...] 内閣府賞勲局
[75] 웹사이트 勲章、記章、褒章等の授与及び伝達式例 https://ndlsearch.nd[...] 1963-07-07
[76] 웹사이트 勲章、記章、褒章等の授与及び伝達式例 https://www8.cao.go.[...] 2006-10-18
[77] 서적 勲章 知られざる素顔 岩波新書 2011
[78] 웹사이트 内閣官房長官記者会見 令和元年5月1日(水)午前 https://www.kantei.g[...] 2019-05
[79] 뉴스 天皇陛下に大勲位菊花章頸飾など3勲章お渡しへ https://www.yomiuri.[...] 2019-05-01
[80] 문서 前述の通り、日本初の勲章授章者も[[有栖川宮幟仁親王]]ら、7名の皇族であった。1875年(明治8年)末、初の賞牌授与式が[[宮中三殿|宮中神殿]]で挙行され、明治天皇が勲章を着用し、有栖川宮らに勲一等旭日章が授与された。
[81] 웹사이트 春秋叙勲受章者数(平成15年秋~平成6年春) https://www8.cao.go.[...] 2024-04
[82] 웹사이트 杯の授与対象 https://www8.cao.go.[...] 2014
[83] 웹사이트 危険業務従事者叙勲受章者数(年別、分野別)(平成15年~) https://www8.cao.go.[...] 2012-11
[84] 웹사이트 文化勲章受章者一覧(平成15年~) https://www8.cao.go.[...] 2012-11
[85] PDF ズデニェク・トーマ氏(Mr. Zdeněk Thoma) https://www.cz.emb-j[...] 在チェコ日本国大使館 2019-08-02
[86] 웹사이트 勲章等を紛失された方へ https://www8.cao.go.[...] 2011
[87] 웹사이트 山武市が叙勲「勲章」を紛失 「勲記」再発行されず 市長、教育長ら遺族に謝罪 https://www.chibanip[...] 2024-05-29
[88] 웹사이트 現在製造している勲章・褒章 https://www.mint.go.[...] 独立行政法人造幣局
[89] 뉴스 のろいの声揚る 天岡氏の勲記署名 在職中の分約2万人 勲章も今後は造幣局で製作 朝日新聞東京本社 1929-09-15
[90] 간행물 勲章と歩んだ40年 大蔵省 1979-03-10
[91] 문서 『造幣局125年史』p. 81
[92] PDF 項目別評価シート http://www.mint.go.j[...] 独立行政法人造幣局
[93] 웹사이트 職員採用に関するQ&A https://www.mint.go.[...] 造幣局 2019-08-14
[94] 서적 勲章・褒章新栄典制度事典 受章者の心得 日本叙勲者顕彰協会 2009-04-01
[95] 간행물 叙位・叙勲 1970-11-04
[96] 서적 新版 勲章と褒章 全国官報販売協同組合 2014
[97] 웹사이트 勲章・褒章の製造:勲章の製造工程(その1) http://www.mint.go.j[...]
[97] 웹사이트 勲章・褒章の製造:勲章の製造工程(その2) http://www.mint.go.j[...] 独立行政法人造幣局
[98] PDF 略小勲章の一覧 https://www.mint.go.[...]
[99] 서적 勲章ものがたり 栄典への道
[100] PDF 略綬略章着用規程 https://www8.cao.go.[...] 内閣府 2019-08-06
[101] 웹사이트 独立行政法人 造幣局 : 略小勲章 https://www.mint.go.[...]
[102] 문서 制定時の額は、一等から四等は廃止時と同じ、五等は上限120円・下限100円、以下、六等は上限84円・下限70円、七等は上限60円・下限46円、八等は上限36円・下限24円であった。
[103] 문서 制定時の額は、功一級900円、功二級650円、功三級400円、功四級210円、功五級140円、功六級90円、功七級65円であった。
[104] 웹사이트 旧勲章年金受給者に関する特別措置法 https://www.shugiin.[...] 衆議院 2019-08-02
[105] 문서 旧勲章年金受給者に関する特別措置法は中央省庁等改革関係法施行法(平成11年法律第160号)77条23号により、[[2001年]](平成13年)[[1月6日]]をもって廃止されている。
[106] 기타 1964年(昭和39年)2月21日の参議院本会議における、伊藤顕道議員の質問に対する池田勇人内閣総理大臣の答弁
[107] PDF 文化勲章受章候補者推薦要綱 https://www8.cao.go.[...] 내각부 상훈국 2000-12-28
[108] 서적 헌법(신판) 弘文堂
[109] 기타 1953년(昭和28年)2月20日の衆議院内閣委員会における、笹森順造議員の質問に対する村田八千穂内閣総理大臣官房賞勲部長の答弁等
[110] 서적 헌법(신판) 弘文堂
[111] 웹사이트 훈장의 종류 및 수여 대상 http://www8.cao.go.j[...] 내각부 상훈국
[112] 문서 훈장제정노건
[113] 문서 대훈위국화대수장급부장제식노건
[114] 문서 보관장급대훈위국화장경식니관스루건
[115] 문서 문화훈장령
[116] 웹사이트 훈장 수여 기준 http://www8.cao.go.j[...] 2003-05-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